월별 글 목록: 2014년 7월월

Null Session이란? Network

 ■ Null Session이란?

 

도메인으로 구축된 네트워크에서 Windows2000/XP가 설치된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User名과 패스워드를 통한 인증과정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이 Null Session은 말 그대로 User名과 패스워드 없이 로그인 가능하게 해버린다.

Null Session이란 Windows가 설치된 네트워크의 다른 원격 컴퓨터에 User名과 패스워드를 NULL로 해서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Null Session은 DOS창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다른 원격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게 해준다. 이 명령어를 NULL Command라고 한다.

 

C:\> net use \\[IP주소]\IPC$“” /user:””

[보충]net use로 공유폴더에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아래 명령이 사용된다.

 

C:\> net use \\[IP주소]\[폴더명] [패스워드] /user:[User名]

*는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기 위한 옵션이다.

 

[보충]UNIX에서도 단지 TCP접속만을 한 상태로 어떤 요청도 데이터도 전송하지 않는 Session을 Null Session이라고 하지만 여기서는 Windows머신에 대한 연결에 한정해서 Null Session을 다루고 있음에 주의하자.

Null Session접속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아래 명령을 사용한다.

 

C:\> net use /delete \\[IP주소]\IPC$
■ Null Session으로 연결되면?

 

Null Session으로 연결되면 공격자는 시스템의 User名, 공유정보 등을 열람할 수 있게 되고 심지어 레지스트리 HKEY_LOCAL_MACHINE의 일부에도 접근할 수가 있게 된다.
■ Null Session을 통한 레지스트리 접근

 

1:Target 컴퓨터에 Null Session으로 연결한다.
2: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시킨다.

> regedit
■ Null Session접속을 방지하기 위한 로컬 컴퓨터 설정

 

○절차1

1:시작>프로그램>관리툴(or 제어판 > 관리도구)>로컬 보안 정책(Local Security Policy)
2:보안(Security)설정>로컬 정책(Local Policy)>보안 옵션(Security Option)
3:「익명접속 추가를 제한한다.」를 더블클릭한다.
4:「로컬정책(Local Policy) 설정」란에서 「명시적 익명접속 권한이 없는 경우 접속을 허락하지 않는다.」를 선택한다.

[보충]Null Session을 막게되면 일부의 ThirdParty제품들의 서비스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절차2

1:시작>프로그램>관리툴>로컬 보안정책
2:로컬 보안(Local Security) 설정>로컬 정책(Local Policy)>보안 옵션(Security Option)
3:「네트워크 접속:SAM계정의 익명 열거를 허락하지 않는다.」를 활성화 한다.
4:「네트워크 접속:SAM계정 및 공유의 익명 열거를 허락하지 않는다.」를 활성화 한다.

 

○절차3

1: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시킨다.
2:아래와 같이 레지스트리를 수정한다.

key :「HEK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Lsa」,
name :「restrictanonymous」,
type/value : 「REG_DWORD=1」

로 수정한다.

긁어온곳 : http://blog.naver.com/dusttin?Redirect=Log&logNo=16429353

[NETWORK]-랜카드 제어 NETSH

랜카드 이름이 “Local Area Connection” 인 것을 “eth0″로 변경하기

 

랜카드 이름이 너무 길어서, 외우기 힘드니까, 이것을 LINUX같이 (eth0, eth1…) 짧게 만들어 봅시다.

netsh interface set interface name=” Local Area Connection” newname=”eth0″

이렇게 하면, Local Area Connection 이던 랜카드 이름이 eth0으로 변경됩니다.

 

랜카드의 IP설정 상태 보기

 

netsh interface ip show config

를 입력하면 랜카드에 설정된 IP정보를 보여줍니다.

ipconfig랑 아주 비슷하네요.

 

c0066466_4b1c612e6c40c

 

 

DHCP사용 여부, IP, MASK, Gateway IP,DNS Server, WINDS Server 정보등을 볼 수 있습니다.

 

랜카드의 IP 변경하기

eth0“라는 이름을 가진 랜카드의 IP를 192.168.0.10으로 변경해 보겠습니다.

 

netsh interface ip set address ” eth0″ static 192.168.0.10 255.255.255.0 192.168.0.254

 

또는

Netsh interface ip set address
name=”eth0″ source=static addr=192.168.0.10 mask=255.255.255.0 gateway=192.168.0.1 gwmetric=1

으로도 세팅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랜카드 “eth0“이란 이름을 가진 랜카드를 IP 192.168.0.10, Subnet MASK 255.255.255.0, Gateway IP 192.168.0.254로

설정되는 것입니다.

 

랜카드의 IP를 DHCP로 부터 할당 받기

 

eth0“라는 이름을 가진 랜카드의 IP를 DHCP서버에서 할당 받도록 설정해보겠습니다.

간단합니다.

 

netsh interface ip set address “eth0” dhcp

또는

netsh interface ip set address name=”eth0″ source=dhcp

 

이렇게 하면, eth0 랜카드의 IP가 dhcp서버에서 할당 받게 되는 것입니다.

 

랜카드의 DNS 주소를 DHCP로 부터 할당 받기

eth0“라는 이름을 가진 랜카드의 DNS 주소를 DHCP서버에서 할당 받도록 설정해보겠습니다.

간단합니다.

 

netsh interface ip set dns “eth0” dhcp

 

이렇게 하면, eth0 랜카드의 DNS IP가 dhcp서버에서 할당 받게 되는 것입니다.

 

랜카드의 WINS 서버 주소 할당하기

 

netsh interface ip set wins “eth0” static 192.168.100.3

 

랜카드의 WINS 서버 주소를 DHCP Server에게서 할당받기.

 

netsh interface ip set wins “eth0” dhcp

 

현재 랜카드 정보를 파일로 저장하기

 

netsh interface dump >mycfg.txt

 

파일로 저장해 놓은 랜카드 정보 복구하기

 

netsh exec mycfg.txt